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국 커피 협회규정
- 에스프레소
- 바리스타 실기규정
- 블렌딩용어
- 쟈뎅마스터즈돌체
- 알바근로기준
- 바리스타1급원두종류
- 바리스타 응시자 기준
- 음료수종류
- 에스프레소뜻
- 최저시급미달
- 블렌딩이란
- 티백주의사항
- 에스프레소의미
- 파이프라인구축
- 바리스타1급 원두향미
- 시험 응시자 규정
- 황금나무no5
- 에스프레소정의
- 바리스타 절차
- 에스프레소기원
- 에스프레소의 탄생배경
- 해고통보절차
- 커피블렌딩
- 코로나극복
- 좋은에스프레소란
- 루소센트
- 자산늘리는방법
- 헤이즐넛장점
- 티백장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0)
커피조아

국가명: 에티오피아 연방민주 공화국(Federal Demoratic Republic of Ethiopia) 수도: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 인구: 약 10,753만명 면적: 약 110만㎢ 에티오피아는 아라비카 커피가 처음으로 발견된 나라이며, 아프리카 최대 커피 생산국이기도 합니다. 커피 생산량의 50% 정도가 해발 1,500m 이상에서 재배되어 커피의 맛과 향이 풍부한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커피 생산지역으로는 하라, 예가체프, 시다모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산지 중 하나인 예가체프는 에티오피아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일향, 꽃향 등의 향기가 특징입니다. 또한 고급커피의 특징 중 하나인 신맛을 가지고 있는 커피로, 너무 강하지 않은 부드러운 신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가명: 케냐 공화국(Republic of Kenya) 수도: 나이로비(Nairobi) 인구: 약 5,095만명 면적: 약 58만㎢ 케냐는 아프리카 동쪽 끝에 위치한 국가로, 에티오피아, 우간다, 탄자니아, 소말리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케냐 산(Kenya Mt.)은 고원지대 중에서도 가장 고도가 높은 곳으로 해발 약 5,199m 정도입니다. 커피가 재배되는 지역의 고도는 평균 1,500~2,100m이며, 99% 이상이 아라비카를 생산합니다. 케냐는 좋은 품질의 커피 생산국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품질을 갖춘 커피는, 커피를 재배하기 좋은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양질의 화산토양과 적도에 위치한 관계로 일조량이 풍부합니다. 그러나 케냐의 커피가 품질이 좋은 것은 단순히 뛰어난 자연조건만..

국가명: 탄자니아 합중국(United Republic of Tanzania) 수도: 다레살람(Dar es Salaam, 경제수도), 도도마(Dodoma, 정치수도, 의회소재지) 인구: 약 5,909만명 면적: 약 94만㎢ 탄자니아는 아프리카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케냐, 서쪽으로는 우간다, 르완다 등이 있습니다. 독일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면서 커피를 본격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풍부한 일조량과 강수량으로 우수한 품질의 커피가 생산되는 국가입니다. 해발 5,895m로 아프리카의 최고봉인 킬라만자로 산이 위치해 있는 모시(Moshi)지방을 중심으로 산악지역에서 질 좋은 커피가 생산이 됩니다. 영국의 황실에서 즐긴다고 하여 '황실의 커피', '커피의 신사'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국가명: 미합종국(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수도: 워싱턴(Washington DC) 면적: 1,560㎢ 미국에서 유일하게 커피가 재배되는 지역인 하와이는, 자메이카 블루마운틴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좋은 커피가 생산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하와이는 8개의 큰 섬과 120개 이상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가장 큰 하와이 섬의 서쪽 지역인 코나 지방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코나(Kona)라고 합니다. 코나 지역은 연간 강우량이 풍부해서 커피 재배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오전에는 충분한 햇빛이 있고 오후에는 안개가 끼고 보슬비가 오는 날이 많습니다. 따라서 굳이 햇빛을 가려줄 나무를 심을 필요가 없습니다. 토양도 맛있는 커피가 재배되는 매우 비옥한 화산성 토..

수도: 사나(Sana' a) 인구: 약 2,981만명 면적: 약 52만㎢ 예멘은 아라비아반도남단 홍해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에티오피아와 함께 커피의 첫 발견의 전설을 가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또한 예멘은 약 6세기경부터 커피를 경작했다고 전해집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된 커피가 모카(Mocha) 항을 통해 수출되어 이 지방의 커피를 지금도 모카라고 부릅니다. 예멘 모카는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하와이안 코나와 함께 세계 3대 명품 커피로 불립니다. 이러한 항구명에서 유래된 모카라는 명칭은 미국이나 유럽에서 커피에 초콜릿을 넣어 마시는 모카커피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이 경우에는 초콜릿이 들어간 음료라는 뜻에서 모카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입니다. 예멘은 내추럴 가공 방식을 주로 사용하며, 신맛과 함께 과일..

대부분의 커피를 뜨거운 물로 추출하는데 반해, 더치커피는 찬물로 오랜 시간 추출하여 카페인의 양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더치커피, 워터드립 커피, 천사의 눈물 커피 등의 이름으로 불립니다. 결론적으로 콜드브루와 더치커피는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더치’라는 말은 네덜란드풍(Dutch)의 커피라고 해서 일본인들 사이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콜드브루(cold brew)는 차가운 물에서 추출한 커피를 영어로 표현한 것이니, 서로 같은 커피를 지칭합니다. 더치커피의 유래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네덜란드와 연관이 있습니다.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의 식민지였을 때, 인도네시아에서 재배된 커피를 유럽으로 운반하던 선원들이 배에서 커피를 먹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장기간의 항해 기간 동안에, 커피를..

모카포트 Italian coffee pot, italian stove top, macchinetta라고도 불리는데, 증기압을 이용한 커피 추출 도구입니다. 모카포트 회사 비알레띠의 주요 모델인 모카와 브리카의 소재는 알루미늄입니다. 또한 지안니니, 일사, 보덤, 알레시 등에서도 스테인레스 모카포트가 생산됩니다. 도자기로 된 안캅의 모카포트도 있습니다. 추출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적당한 분쇄도의 커피와 물입니다. 모카포트 커피 굵기는 에스프레소와 비슷하거나 약간 굵게다. 커피 양은 1인분에 약 6~8g, 비알레띠 브리카 모카포트의 경우 인원수에 맞게 추출하기 때문에 커피 담는 곳에 맞추어 커피를 담으면 정량이 된다. 에스프레소는 흔히 1인분에 크레마 포함 30ml를 추출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따라서 물의..

커핑이란? 커핑(cupping)은 커피 샘플의 향(aroma)와 맛(taste)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하며 이런 작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을 커퍼(cupper)라고 합니다. 커퍼는 커피 농장이나 대규모 로스팅 회사, 커피 제조 회사 등에서 근무하여 커피를 평가하는 중요한 일을 하는데 선천적인 감각보다 후천적인 반복적 훈련을 통해 육성 되어집니다.커핑은 대부분 커피의 구매나 블렌딩과 같은 상업적인 목적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커퍼는 규정된 커핑 절차와 기법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합니다. 커핑 랩(cupping lap) 커핑이 이루어지는 곳을 커핑 랩(copping lap)이라고 하는 데 실내 온도는 20~30℃이어야 하며 상대 습도(R.H)는 85% 미만이어야 합니다. 또한 평가를 하는데..

디카페인 커피 제조의 목적은 카페인은 제거하지만 아로마와 맛은 유지하고 있는 커피를 생산하는 데 있습니다. 디카페인 커피는 오늘날 원두커피뿐 만 아니라 인스턴트커피 분야에서도 많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1819년 독일의 화학자 룽게(Friedrich Ferdinand Runge)에 의해 최초로 카페인 제거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상업적 규모의 카페인 제거 기술은 독일 HAG 사의 설립자인 로셀 리우스(Ludwig Roselius)에 의해 1903년 개발되었습니다. (1906년 특허) 생두가 카페인 제거 용매에 접촉하기 전에 수증기를 쬐어 콩을 부풀리고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카페인 용해가 잘 되도록 하는 공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커피에서 카페인을 용해하고 추출하여 카페인을 제거함으로써 만들어지는 디카페인 커피는 벤..

터키 커피의 역사 중동 지역 일부 남유럽 국가들에서는 에스프레소보다도 더 진하고 걸쭉한 커피를 즐깁니다. 이탈리아에서 모닝커피는 정신을 차리기 위한 일종의 각성제처럼 여깁니다. 이탈리아가 진하고 깔끔한 에스프레소로 유명하다면, 터키는 에스프레소보다 더 진한 터키쉬 커피로 유명합니다. 걸쭉한 건더기가 커피잔에 들어가고 특이하고 강한 향이 특징입니다. 남유럽 그리고 중동 국가의 커피가 유독 더 진한 것은 오스만 제국 때의 영향입니다. 오스만 제국의 첫 커피숍은 16세기 초반에 세워졌으며, 사람들은 커피숍을 크라앝하네(kiraathane)라고 불렀는데, 읽는 장소라는 의미 입니다. 당대의 커피숍은 학자들이 만나 학식을 겨루며 토론을 하고, 책을 읽는 장소였습시다. 오랜 시간 책을 보다가 잠을 깨기 위한 각성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