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헤이즐넛장점
- 블렌딩이란
- 파이프라인구축
- 코로나극복
- 에스프레소의 탄생배경
- 바리스타 응시자 기준
- 블렌딩용어
- 한국 커피 협회규정
- 시험 응시자 규정
- 에스프레소기원
- 최저시급미달
- 알바근로기준
- 바리스타1급원두종류
- 바리스타 절차
- 황금나무no5
- 에스프레소
- 자산늘리는방법
- 커피블렌딩
- 바리스타1급 원두향미
- 쟈뎅마스터즈돌체
- 에스프레소뜻
- 좋은에스프레소란
- 음료수종류
- 해고통보절차
- 티백주의사항
- 루소센트
- 티백장점
- 에스프레소정의
- 에스프레소의미
- 바리스타 실기규정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0)
커피조아

음료수 음료수(飮料水)는 인간이 마시고 소화하기 위한 물을 말합니다. 줄여서 음수(飮水)라고도 합니다. 목마름을 해결하기 위해 마시는 것이 보통입니다. 정확히 말해 음료수, 곧 생수는 음료와 다른표현입니다. 이에 반해 음료(飮料)는 액체를 많이 포함하여 마실 수 있는 음식을 뜻합니다. 흔히 음료수(飮料水)라고도 부르지만, 엄밀히 말하면 음료수는 마시거나 요리에 쓰이는 물만을 뜻한다. 음료는 대략 다음과 같이 나눕니다. 물은 표준조건(상온 1기압)에서 무색 · 투명하고, 아무런 맛이나 냄새가 없는 액체상태의 물질입니다.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로 지구 위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되며, 지표면의 70% 정도를 덮고 있습니다. 물은 가장 보편적인 용매로 고체상태인 것을 얼음, 기체 상태인 ..

개암나무속 나무의 열매입니다. 견과류의 일종으로, 전세계적에서 널리 식용되고 있습니다. 크기는 약 1.5cm 정도이며 갈색을 띱니다. 특유의 향 때문에 아이스크림, 초콜릿, 쿠키, 커피 등 서양식 음료수나 과자를 만들때 많이 이용됩니다. 누텔라에도 헤이즐넛이 들어갑니다. 또한 이탈리아의 리큐르의 일종인 프란젤리코는 주정에 헤이즐넛을 넣고 숙성시킨 것입니다. 칼로리는 100g에 371칼로리 정도이며 지방함량 60% 가량으로 높은편입니다. 시럽, 고칼로리 첨가물과 함께 섭취하게 됩니다. 헤이즐넛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국가는 터키로, 전세계 생산량의 약 75%가 터키에서 생산합니다. 터키 한 나라에서 2004년에 거둔 헤이즐넛의 양이 약 62만 5천통이며, 거의 다 여름철에도 온난습윤한 흑해지방에서 생산됩니다..

에스프레소의 기원 에스프레소 방식이 개발되기 전까지 사람들은 금속이나 천을 이용한 드립 방식의 필터 커피를 즐겼는데 추출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추출방법이 필요하였는데 증기압을 이용한 커피 기계가 산타이스(Edourard Loysel de Santais)에 의해 개발되어 1855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 선을 보이게 됩니다. 이 기계는 1시간에 약 2,000잔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기계는 너무 복잡하고 조작이 어려워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습니다. 에스프레소의 탄생 1901년 이태리 밀라노의 루이기 베제라(Luigi Bezzera)는 증기압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머신의 특허를 출원하였습니..

블렌딩(Blending) 최초의 블렌딩 커피는 모카-자바 (Mocha-Java)로 알려져 있는데 인도네시아 커피와 예멘 또는 에티오피아 커피를 혼합하여 모카 커피의 과일향과 꽃향이 나는 신맛과 자바의 강한 바디가 조화를 이루는 커피가 탄생하였습니다. 블렌딩이란 이처럼 단종 커피(single-origin coffee)의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두 가지 이상의 특성이 서로 다른 커피를 혼합하여 새로운 맛과 향을 창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상 한 종류의 커피(single-origin)만을 사용하면 커피의 모든 속성을 다 가지고 있기 어려우므로 느낌이 약할 수밖에 없으며 반면에 블렌딩 커피는 다양한 속성을 가지고 있어 훨씬 풍부하게 커피를 즐길 수 있게 해줍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만일 싱글 오리진 커피가 신맛을 ..

카페인 카페인(caffeine)은 1819년 독일의 화학자 룽게(Friedrich Ferdinand Runge)가 처음 분리에 성공하면서 "Kaffein"이라고 명명한 데서 유래하였으며 영어로 'Caffeine'이 되었는데 커피 안에 있는 물질(coffee + in)이란 뜻입니다. 카페인은 퓨린(Purine) 계의 크산틴 알칼로이드(xanthine alkaloid) 합성 물질로 또 다른 명칭은 1, 3, 7-Trimethylxanthine이다. 녹는 점(melting point)는 237℃이며 드라이아이스처럼 승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승화 온도는 178℃이고 실온에서 하얀색이며 쓴맛이 나는 냄새가 없는 결정 구조입니다. 카페인은 인체에 흡수되면 신경계, 호흡계, 심장 혈관계에 영향을 주나 그 효력은..

서비스 직원의 기본자세 1. 머리는 단정하고 깔끔하게 하며 긴 머리는 묶는 것이 좋습니다. 2. 향이 강한 향수나 짙은 화장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액세서리는 원칙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3. 매니큐어는 색깔이 있는 것은 안 되고 손톱은 짧게 합니다. 4. 유니폼은 깨끗하고 정해진 것을 착용하고, 명찰은 지정된 위치에 달아야 합니다. 5. 여자 직원은 굽이 낮은 검은색 구두를 착용하고, 스타킹은 살구색이어야 합니다. 6. 남자 직원은 검은색 구두를 착용하며 항상 깨끗하게 관리합니다. 양말은 검은색이나 짙은 청색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객 영접 및 좌석 안내 요령 1. 영접 1) 밝은 얼굴로 인사말 "어서 오십시오"를 하고 고객을 반갑게 맞이합니다. 2) 단골 고객일 경우에는 이름이나 직함을 불러줌으로써..

바리스타 1급을 준비하면서 실기를 보게 되면 준비과정보다 더 빡센 원두 향미를 맞추는 것입니다. 준비과정 시간은 10분이면 5분을 그라인더를 맞추는 것에 소모됩니다. 분쇄도는 본인이 스스로 맞추며 분쇄 원두의 색, 추출향, 추출되는 형태, 맛 등을 보면서 어떤 원두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준비과정이 끝나면 시연 과정 때 심사위원분들께 인사하고 어떤 원두를 사용하고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설명합니다. 그리고 에스프레소 데미타쎄 잔으로 4잔 30ml 다 똑같이 추출하고 카푸치노 2잔은 3단 튤립 나머지 2잔은 로제타를 갖다 주면 됩니다. 2급하고의 차이는 1급은 준비과정 시간이 5분이 더 추가가 되었으며, 에스프레소를 직접 마실 수가 있는 것이고 시연 때는 원두 & 향미 소개를 하고 에스프레소 4잔을 데미타..

안녕하세요 커피조아 입니다. 오늘은 커피와 궁합이 잘 맞는 우유에 대하여 알아볼겁니다. 우유라 하면 물 대신 마시는거 또는 학생 시절때 제티를 타먹는 1순위 인걸로 기억하는데 우유에도 여러가지 성분이 있답니다. 우유의 성분 우유에는 약 88%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중 당질과 무기질은 용액 상태로, 지방질은 유탄액으로, 단백질은 콜로이드 상의 현탁액으로 분산되어 있습니다. 우유는 수분과 고형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고형물은 지방과 무지 고형물로 분류됩니다. 이것은 또 유기질과 무기질로 구성되며, 유기질은 질소화합물과 무질소 화합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유에서 지방이 풍부한 부분을 분리한 것을 크림(cream)이라고 하며, 나머지 부분을 탈지유(skimmed milk)라고 합니다. 탈지유에 ..

1. (사) 한국커피협회웹사이트에 회원가입 후 온라인으로 시험의 신청양식을 제출한 것은 시험과 관련한 모든 제반사항을 (사) 한국커피협회 웹사이트에 공지되는 시험 안내, 규정 및 평가표 등을 통하여 확인 후 동의하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기 규정집 제1장 1. 4. 계약조건] - 시험 규정, 고사장 및 시험운영 방식, 제공되는 기물과 기계 및 원재료, 인적자원 등 2. 준비/시연평가 동안 기술적 또는 환경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응시자는 문제 발생 즉시 손을 들어 '문제 있음'을 표시하고 수식 평가 위원의 조치를 기다려야 합니다. [실기 규정집 제2장 8] ① 기술적 또는 환경적 문제 - 에스프레소 기계 또는 그라인더의 문제 - 오디오 장치(시간안내, 음악 등) - 시설 및 기타(시험을 진행할 수 없을..

바리스타 2급 과정 준비시간 5분 + 시연시간 10분 총 15분안에 기계머신 점검, 추출, 서빙, 청소 까지 다 끝내야 합니다. 시험장에는 아마 밀크피쳐3개와 큰600ml피쳐 하나가 놓여 있을 것입니다. 그옆에는 나랑 같이할 경쟁자도 있습니다. 그라인더와 머신 상태는 준비과정에 확인하면 됩니다. 챙길것은 주민등록증, 2급실기보는 수험증, 린넨2장, 행주 4장, 앞치마 기본 복장은 하얀셔츠(티셔츠안에 아무것도 입으면 안된다, 검정정작바지, 검정 정장 구두, 검정양말 (장신구는 하면 안된다 반지 귀걸이 목걸이 다 금지) 준비과정은 심사위원에게 준비 사인을 한다음 뒤돌아서 행주 각각 자리에다가 세팅 후 스팀 행주로 스팀을 틀고 그룹헤드에 있는 1스파웃과 2스파웃을 분리 하고 열수 흘리기를 해줍니다.(보일러 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