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바근로기준
- 티백장점
- 헤이즐넛장점
- 파이프라인구축
- 코로나극복
- 바리스타 응시자 기준
- 에스프레소
- 에스프레소의 탄생배경
- 음료수종류
- 에스프레소정의
- 에스프레소의미
- 티백주의사항
- 쟈뎅마스터즈돌체
- 블렌딩용어
- 바리스타1급원두종류
- 루소센트
- 최저시급미달
- 커피블렌딩
- 바리스타 절차
- 에스프레소기원
- 바리스타1급 원두향미
- 바리스타 실기규정
- 한국 커피 협회규정
- 황금나무no5
- 블렌딩이란
- 자산늘리는방법
- 에스프레소뜻
- 좋은에스프레소란
- 시험 응시자 규정
- 해고통보절차
- Today
- Total
커피조아
모카포트 추출방법 이론 본문
모카포트 Italian coffee pot, italian stove top, macchinetta라고도 불리는데, 증기압을 이용한 커피 추출 도구입니다.
모카포트 회사 비알레띠의 주요 모델인 모카와 브리카의 소재는 알루미늄입니다.
또한 지안니니, 일사, 보덤, 알레시 등에서도 스테인레스 모카포트가 생산됩니다.
도자기로 된 안캅의 모카포트도 있습니다.
추출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적당한 분쇄도의 커피와 물입니다.
모카포트 커피 굵기는 에스프레소와 비슷하거나 약간 굵게다.
커피 양은 1인분에 약 6~8g, 비알레띠 브리카 모카포트의 경우 인원수에 맞게 추출하기 때문에 커피 담는 곳에 맞추어 커피를 담으면 정량이 된다.
에스프레소는 흔히 1인분에 크레마 포함 30ml를 추출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따라서 물의 양은 1인분에 30ml에 커피가 흡수할 물의 양을 계산하여 약 35~40ml를 넣는 것이 적당합니다.

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에 해당하는 하단 포트에 물에 넣고 가열을 하면 수증기가 생기, B에 해당하는 바스켓(Filter Funnel)에 담겨 있는 커피 가루는 물이 끓이면서
생기는 수증기의 힘에 의해 찐 상태가 됩니다.
그러면 관을 타고 올라간 물의 커피가루를 통과하면서 커피 성분이 추출되고 추출액은 C에 해당하는 상단 포트 추출 구를 통해 나오게 됩니다.

①뚜껑 손잡이
②뚜껑: 투명 유리창으로 되어 있어서 커피가 추출되는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③압력 밸브(압력추): 일반 모카포트는 1~2기압인데 비해 브리카는 약 4~5 압력(에스프레소 머신 압력:8-10 기압) 정도 추출 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높은 압력으로 인해 에스프레소의 특징인 크레마가 생성되는데 이렇게 높은 압력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압력 밸브입니다.
④주전자(컨테이너): 커피가 추출되어 담기는 곳입니다.
⑤손잡이: 손잡이가 타지 않도록 추출 시 주의하여야 하며, 손잡이는 소모품으로 별도 구입이 가능합니다.
손잡이만 따로 판매하는 이유는 불이 너무 강할 경우 쉽게 탈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⑥평면 필터(필터 플레이트): 커피 가루가 침투되어 쓴맛이 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필터이다. 경우에 따라 좀 더 부드러운 맛을 내기 위하여 별도 종이 필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⑦개스킷: 접촉면으로 물이나 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끼워 넣는 패킹으로, 개스킷도 소모품으로서 별도 구입이 가능합니다.
추출 시 보일러와 주전사 사이에서 커피가 샌다면 그때는 개스킷을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⑧바스켓: 분쇄된 커피 파우더를 담는 곳입니다.
⑨물통(보일러): 물을 담는 곳입니다.
⑩안전 밸브: 보일러 내부의 높은 압력에 대한 안전장치로, 커피 분쇄도가 너무 가늘거나 커피 양이 많아 추출이 되지 않으면서 보일러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안전밸브로 커피가 새어 나오게 됩니다.
추출방법
①하단의 포트에 물을 넣는다. 물은 1인분에 약 35~40ml 정도로, 압력밸브보다 약간 아래까지 물을 넣으면 됩니다.
②바스켓에 커피를 담은 후 커피 스푼 등으로 고르게 해줍니다. 커피를 담은 후 탁자 등에 수평을 맞추어 2~3회 살짝 두드려 줍니다.
이 과정에서 비어있는 곳까지 커피가 채워지면서 커피가 고르게 담기게 됩니다. 에스프레소 추출의 레벨링과 유사한 과정입니다.
③커피가 채워진 바스켓 위에 페이퍼 필터를 놓습니다.
④상하 포트를 채워줍니다.
⑤가스 레인지로 가열합니다.
⑥커피가 추출되기 시작하고, 커피 추출액의 양이 점점 많아집니다.
⑦치익 - 하는 소리가 나면서 크레마가 모두 나오고 나면 더 이상 추출액이 나오지 않을 때 불을 끄고 추출을 마무리합니다.
모카 모트 주의사항
모카포트를 처음 사용 시에는 최소 3번 이상 커피를 추출하여 모카포트를 세척해 주어야 합니다.
제조과정에서 녹 방지 오일과 쇳가루 등이 제품에 묻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추출된 커피는 먹으면 안 됩니다.
모카포트로 커피 추출한 준비가 모두 되었을 때 확인할 것은, 추출 전 압력 밸브(압력추)가 위/아래로 잘 움직이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커피로 인해 압력 밸브가 굳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추출 전에 위아래로 잘 움직이는지 확인하고, 또한 압력 밸브가 올바르게 잠겨 있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보일러에 물은 항상 정확한 양의 물만 담아야 합니다.
추출 후, 보일러와 주전자가 잘 분리되지 않을 경우 압력 밸브를 들어 올려 내부 압력을 제거해 주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 후에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완전히 건조해 주어야 합니다.
세척 시에는 철 수세미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깨끗이 헹구어서 자연건조를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